728x90 반응형 문화인 가능19 (다큐/사회) 초저출생, 아이를 키울 수 없는 환경 https://youtu.be/ivMUYg5l9-Q?si=u5FMIM-p_YsdH7Uf아이와 시간을 보낼 수 없는 사회, 저출산의 진짜 이유한국의 저출산 문제가 심각하다는 건 더 이상 새로운 얘기가 아니에요. 정부는 출산 장려금을 올리고, 아이 돌봄 정책도 조금씩 확대하고 있지만, 출산율은 여전히 바닥을 치고 있어요. 왜일까요? 돈의 문제가 아니라, 더 본질적인 구조적 문제가 있기 때문이에요. 바로 “아이와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없는 사회”라는 점이에요.요즘 부모들은 아이를 낳는 것 자체보다, 낳은 이후의 삶을 더 두려워해요. 단지 경제적인 부담만이 아니라, 물리적으로 아이와 함께할 시간이 너무 부족하다는 걸 알기 때문이에요. 대부분의 부모는 긴 노동 시간, 야근, 주말 없는 직장 문화 속에서 하루의 대.. 2025. 5. 6. 시사사회 | 7세 고시 https://youtu.be/DysyxTqFlnY?si=K53DfWHjp2lH8mOw“7세 고시” 열풍,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을까최근 부모들 사이에서 ‘7세 고시’라는 신조어가 회자되고 있습니다. 이는 만 7세, 즉 초등학교 입학 전 아이들에게 과도한 사교육을 시키는 현상을 일컫는 말로, 초등학교 선행 학습은 물론 중등, 고등 과정까지 미리 가르치려는 분위기를 말해요. 일부 학원에서는 ‘7세에 초등 전 과정 마스터’, ‘7세 때 고등 수학까지’ 같은 자극적인 슬로건을 내세우며 부모들의 불안을 자극하고 있어요.이러한 조기 교육 열풍의 배경에는 치열해진 입시 경쟁과 명문대 진학에 대한 조기 압박, 그리고 불안한 부모 심리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특히 사교육 시장은 이러한 불안을 놓치지 않고, “지금 안 하.. 2025. 5. 6. [BBC News 코리아] 버닝썬: K팝 스타들의 비밀 대화방을 폭로하다 https://youtu.be/J1FNN34HCsQ?si=ekSGugLWuUta41KYBBC News 코리아 영상소개 박효실, 강경윤 기자는 5년 전 한국 연예계를 뒤집어놓은 K팝 스타들의 성 추문 사건, 일명 '버닝썬 게이트'를 폭로한 기자들이다.강경윤 기자 | SBS 사회의 축소판인 엔터계의 성추문 취재를 시작으로, 버닝썬 게이트를 알게되어 취재하고 세상에 보도하였다. 박효실 기자 | 스포츠서울 정준영이 성범죄로 피소된 사실을 가장 먼저 보도하였다. 강 기자는 아직도 가수 정준영이 주고받은 카카오톡 대화 메시지를 볼 때면 "심장이 아프다"라고 말했다.정: 이제 술집*들이 다 더러워보여 ㅋㅋㅋ 그전까지만해도 내 장난감처럼보엿는데 쓰레기같아 ㅋㅋ 박 기자 또한 2016년 정준영의 몰카 촬영 의혹에 대해 .. 2024. 5. 20. [다큐 / EBS ] 뇌로 보는 인간 - 1부 돈 https://youtu.be/tJsjgeyMQiE?si=2klU9iCxnZAn0cfH 뇌와 돈과의 관계 인간이 돈을 만든 것은 20만 년 인간의 역사에서 아주 최근의 일이다. 우리의 뇌는 아직 돈을 잘 다룰 만큼 진화하지 못했다. 뇌는 돈을 식욕, 성욕처럼 생존에 꼭 필요한 것이라 여기고, 민감하게 반응하고 절박하게 매달린다. 그래서 인간이 만들어낸 ‘돈’의 마력에 휘둘리며 산다. 인간의 뇌는 돈이 많고 적음에 아주 예민하게 반응한다. 인간의 뇌는 돈이 많아지면 공감 능력을 담당하는 미주 신경(Vagus Nerve)의 활동이 저하되고, 돈이 적어지면 인지 능력이 저하된다. 인간에게는 돈이 많아도 문제, 돈이 적어도 문제이다. 우리는 이런 뇌로 자본주의를 잘 살아가고 있는 걸까? 뇌로 보는 인간 1부 돈.. 2024. 5. 19. 이전 1 2 3 4 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