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인 가능/새벽독서

[책/경제] 트렌드코리아2023 | (1) 2022 키워드

by goin물 2022. 11. 29.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goin물 입니다.


여러분은 올해 잘 마무리 중이신가요?


2022년 한 해를 마무리하며

도서 <트렌드 코리아 2023>을 바탕으로

작년 주요 경제 키워드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출처 교보문고


저자 | 김난도,전미영,최지혜,이수진,권정윤,이준영,이향은,한다혜,추예린
출판 | 미래의 창



나노사회

개인의 취향, 산업의 형태, 사회적 가치가 점차 극소 단위로 파편화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트렌드 코리아 2022』에서 명명·제안한 키워드


  • 나노 공동체 | 분열된 집단


“지난 30년간 우리가 경험해왔던 세계화는 끝났다.”
- 래리 핑크Larry Fink 회장

우크라이나 전쟁은 단순히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이의 전쟁이 아니다.
이들의 대립은 자유주의 진영과 사회주의 진영의 대립으로 이어져 ‘신냉전 시대’를 다시금 떠올리게 한다.

세계화의 종식은 곧 국가 간의 분열을 의미.
국가 내부 분열도 극에 달음
- 미국 낙태 제도로 촉발된 정치적 분열
- ‘노OO 존’, ‘퐁퐁남’ 등 집단의 분열

  • 나노시장 | 작은 것들의 반란


1. 타깃이 작아지다 못해 나노 단위로 쪼개지는 ‘나노타깃팅
- 개인화 알고리즘

2. 타깃의 미세화에 따라 산업 형태도 소형화되는 ‘나노유통
- C2C(Consumer to Consumer) | 개인이 자체 브랜드를 만들어 다른 소비자에게 판매
- ODM(제조자 개발 생산), PODPrint On Demand(주문 제작인쇄) 이용
- D2C(Direct to Consumer) | 제조사가 유통사를 거치지 않고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
- C2M(Customer to Manufacturer) | 소비자의 니즈를 모아 신속하게 생산
- 온디맨드 | 소비자의 주문이 들어오면 즉각 제품을 만드는 생산 방식

  • 나노자아 | 혼자를 지향하는 개인주의 가치관


나노사회와 나노시장으로부터 촉발된 개인화 경향이 개인주의 가치관으로까지 투영되어 나타난 것

1. 나노가족의 등장과 고독사회
- 가족에서조차 개인주의 가치관이 강화
- ‘1인 가구’ 숫자는 매년 빠르게 증가
- 가족 형태가 나노 단위로 빠르게 전환

2. 나노노동
- 소속되기 보다 혼자 일함
- 키오스크, 서빙로봇, 무인매장으로 인한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수 증가
- 직장인도 시간을 쪼개 아르바이트

3. 배려사회
변화 앞에서 갈등과 분쟁을 줄이며 서로를 인정


대투자 시대

  • 머니러시

세대와 관계없이 월급 이외 돈을 만드는데 지대한 관심을 가진 모든 경향성

  • 재테크

전략1/ 안전자산으로 돌아오기
- 역머니무브에 따른 위험자산 손절, 안전자산 이동
전략2/ 소액으로 투자하기
- 주식 소수점 거래
- 부동산 증권 형태로 투자자에게 판매
시세차익 나눠 가짐
- 음악 저작권료, 고급 슈퍼차 소유권 조각 투자

  • 시테크 (시간+재테크)

- 자신의 시간을 플랫폼 등에 할애
- 나의 일상이나 기록을 공유하며 수익창출
전략1/ 내시간 보상받기
- 리워드 플랫폼
- M2E (Move to Earn)
- P2E (Play to Earn)
전략2/ 내 시간 공유하기
- 유튜브 ‘OO with me’
- 장소 공유

  • 덕테크 (덕질+재테크)

전략1/ 좋아하는 대상에 투자
- 중고거래 플랫폼 > 덕질의 장
- funderful | 문화컨텐츠 온라인 소액공모 중개서비스
- 드로우나 래플 제품 오픈런
- 득템력 | 지불 능력으로는 얻을 수 없는 상품을 얻어내는 소비자의 능력

전략2/ 좋아하는 취미활동으로 N잡
- 다양한 파이프라인으로 수익창출
- 과정상 즐거움과 만족감을 중요시



슬기로운 엔데믹 생활

‘갓생살기!’

  • 티끌모아 성장

- 온라인으로 관리
| 목표달성 후 적절한 보상 플랫폼 이용 증가
| SNS 미션인증
- 오프라인으로 관리
| 일기, 다이어리 꾸미기 유행
| 종이 가계부, 생활비 달력


  • 재미 모아 건강

- 헬시플레저 | 건강관리가 즐거워진다는 의미
- 건강기능식품 활용 증가
- 마이너스 전략
| 소식좌 재조명 > 소용량 식품, 당도와 열량 줄인 로푸드 급증
- 플러스 전략
| 화이트 미트 (가금류, 흰살생선) 주목
영양소 음료 콤부차 등 발효음료 인기


  • 힘을 모아 가치

- 사람을 모아 더 큰 가치를
함께 운동하면 시너지!
- 챌린지를 모아 사회적 가치를
생활습관 개선 앱 인기 지속,
챌린지와 함께하는 캠페인!

  • 기업과 소비자 모두 낙숫물이 바위를 뚫는 인내를

루틴이 트렌드
1/ 불황경제의 생존법
- 짠테크 실천
- 무지출 챌린지
2/ 사회적 마케팅 전략
- 챌린지 도모 마케팅
- 루틴을 도모하는 커뮤니케이션


일상 속 오아시스를 찾아서


2022. 4. 18 거리두기 전면해제
코로나> 엔데믹으로 전환
신조어 ‘엔데믹 블루
‘코로나 블루’와 반대 개념

재난은 모두에게 공평했지만
회복 속도는 평등하지 않음
팬데믹이란 사막에서 자신만의 오아시스를 찾아 마음을 달램

  • 시골 오아시스

첫번째 방법

시골로 떠나기
시골감성 체험 수요의 증가
*러스틱 라이프: 날것의 자연과 시골 고유의 매력을 즐기며 도시생활의 여유와 편안함을 부여하는 시골 향 라이프스타일 지칭

  • 도시 오아시스

두번째 방법

- 자기만의 아지트
여가트렌드 반영 키워드 중 하나 ‘욕실’
- 집 앞 편의 점에서 로컬 감성 상품 구매
로컬 맥주, 소주 유행
- 오하운(오늘 하루 운동)
삶의 기준이 성취와 경쟁에서 즐겁고 건강한 가치를 찾는 것으로 이동

  • 추억의 오아시스

엑스틴 이즈 백

1970년대생
- 경제적, 문화적으로 풍요로운 10대시절
- 자유롭고 개인주의적 성향 간직
- Z세대와 알파세대 사이에 있는 10대 자녀와 라이프스타일 공유
- 가장 큰 소비량 갖춘 집단

뉴트로 유행
무조건적 재현이 아닌, 창의적 해석


  • 위기 속에서 빛나는 본질적 가치의 힘

불안이 커질수록 본질적인 가치가 재조명
가족·행복·휴식·공동체 등
발전과 경쟁의 가치에 밀려 잊고 있었던 기준을 다시 돌아보게 됨
기업도 총체적인 흐름을 읽어야 할 때



메타버스와 내러티브가 만드는 새로운 현실

소비자들 활동무대 넓어짐


  • 메타버스, 영역을 넓히다

universe + meta
독자적 컨텐츠 생산, 가상화폐 사용
의료적, 상업적으로도 이용


  • 디지털 그라데이션, 가상과 현실을 잇다

*디지털 그라데이션: 실제로부터 가상으로 연결되어 이어지는 온·오프라인 믹스를 표현하기 위해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에서 만든 용어
가상공간이 ‘유희’를 중점으로 둔다면,
디지털 그라데이션은 ‘실용’
- 무신사 모델로 ‘무아인’
- 가상 모델 성공사례 ‘로지’
- 정직원으로 근무하는 가상인간 ‘리아’
- 가상공간을 창조, 혼합하는 ‘실재감 테크’


  • 내러티브, 세계관을 만들다

알다gnarus + 말하다narrow = narrare가 어원인 내러티브
무언가를 알기 위해 말하다

*내러티브 자본

세상에 의미를 부여하고 그것이 자신의 삶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 해석
과정을 강조하는 ‘내러티브’가 보이지 않지만 강력한 자본의 역할을 수행

  • 사람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하라


현대인의 욕망이자 결핍이기도 한 ‘존재감’을 추구하기 위한 그런 ‘장’을 제공해야함.
- 그럴듯한 세계에서 내가 존재한다는 주관적으인지가 가장 필요하며 사람들이 직접 참여
-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안하고 팬덤을 만들며 삶의 이상향을 꿈꾸게 하는 ‘새로운 현실’


.
/2022 10대 트렌드 주요 상품/
K-콘텐츠
비대면 플랫폼
캐릭터 기획 식품
상담 예능
친환경 포장
제로 음료
이색 주류
셀프 사진관
새치 샴푸
도심 근교 대형 카페

.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건강과 환경에 대한 관심,
‘득템력’, ‘가심비’ 등 소비의 변화가 모여
2022 트렌드가 형성되었는데요.

2023년은 과연 어떤 트렌드 붐이 일어날까요.
그에 맞는 소비와 생산 전략이 필요한 때 입니다.


2023 트렌드에 대해서는 바로 다음에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