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인 가능/오전상식

[책/경제] 자이언트 임팩트 | 1. 인플레이션

by goin물 2022. 12. 2.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goin물입니다.


이번 소개드릴 책은 <자이언트 임팩트>입니다.


출처 교보문고



저자 | 박종훈
출판 | 웅진지식하우스
출간 | 2022.10.24.



세계 패권전쟁은 네 개의 축으로부터 가늠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중 첫 번째, 인플레이션입니다.


인플레이션
_ 폭발적인 자산 상승기를 뒤흔드는 물가의 공습



1. 폭발적인 자산 상승,
비밀은 저물가에 있었다


지난 30년 동안 경기가 과열되거나
미국 연준이 아무리 돈을 풀어도
좀처럼 인플레이션이 찾아오지 않는 특이한 현상

인플레이션이 일어나기는커녕 디플레이션

닷컴 버블,
글로벌 금융위기,
코로나 위기를 거치면서
조정 기간이 짧아짐

주가와 집값이 치솟아 오른 이유는
바로 저물가 때문
30년간 현상이 지속되면
영원히 지속될 거란 착각에 빠지기 쉬움

2. 인플레이션이 오지 않을 것이라는 착각


인플레이션이 오지 않을 거라던 전문가들
- NIMTY의 함정 (내 임기만 아니면 된다)
Not In My Term

인플레이션 우려가 없던 현상의 원인을

‘세계화’로 보는 시각이 많음

3. 미국 주도의 세계화가 흔들리는 까닭


영국이 주도하던 세계화,
탈세계화를 주도했던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미국

미국은 영국보다 느슨한 세계화 추구

세계화 이후 중국 중산층과 선진국 고소득층의 소득이 동반 상승할 때,
유독 선진국 중산층만 피해

30여 년간 세계 질서를 상징해 왔던
세계화에 균열


4. 탈세계화는 어떻게 인플레이션을 부르는가


- 자본의 이동을 막아 해외 투자가 어려워짐
- 미국 보호무역주의 강화 가능성이 큼
- 코로나와 전쟁으로 인한
공급망 마비로 적기 생산이 어려워짐


5. 고령화는 왜 물가를 끌어올리는가


일본의 고령화와 함께 찾아온 디플레이션

But,
고령화가 인플레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의견 다수

1/ 소비는 늘고 공급은 줄고
2/ 제조업 자동화가 이루어진다 해도
서비스업 자동화는 쉽지 않을 것
사람을 완전히 대체하기는 미지수
3/ 미국의 60세 이상 고령층이
총 자산 80% 이상 소유
고령층에 부가 집중


6. 30년 디플레 일본, 앞으로 문제는 인플레다


오랫동안 디플레를 겪어 온 일본,
2022년 8월
일본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년대비 2.8% 상승
31년 만에 최대 폭 상승
더 큰 문제는
기업물가지수 상승률 9%
기업들이 비용 상승을 감내
가격 인상에 동참하는 기업들이 점점 늘어남


30년의 장기불황의 끝,
악성 인플레이션 우려
대응 방법은 금리를 올리거나 양적 긴축
그러나 이전 무리한 양적 완화와 시장개입으로
국가재정 흔들릴 우려

7. 중국, 인플레의 진원지가 되다


중국은 1990년대 말 이후
경기 과열을 걱정해야 할 정도로 고성장을 했지만
중국은 물가가 놀라울 정도로 안정돼 있음
농촌의 유휴인력이 넘쳐났기 때문
도시화와 급격히 감소한 젊은 인구
중국 경제뿐 아니라 글로벌 경제 변화 유발에 핵심 요인


8. 향후 인플레이션의 네 가지 시나리오

1/ 끝날 듯 끝나지 않는 인플레이션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
그레이트 인플레이션 때처럼
긴축했다 바로 돈을 풀지는
않을 거란 전망
- 포트폴리오 설계 후 투자
레이달리오 [사계절 포트폴리오] 참고

2/ 경기침체 후 인플레이션에서 탈출

그레이트 인플레이션 끝낸
폴 볼커(당시 연준 의장)
초고금리 유지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꺾여
물가 하락세
단기적으론 힘드나 장기적으론 좋은 신호
-미국 정치 상황과 연준 예의주시

3/ 자산 가격 붕괴와 디플레이션

눈앞의 경기침체를 못 견디고
당장의 경기 부양책 사용
완화-물가폭등-긴축-반복
최악의 시나리오

4/ 경기 둔화와 통제 가능한 수준의 인플레이션

빅 스텝, 자이언트 스텝 연거푸 금리 올린 적은
1979 폴 볼커 이후로 처음
현재 기존 금리가 낮았었기 때문에
더 큰 파장 있을 수 있음

다만 연준의 새로운 기법 개발,
과거보다 과감한 개입으로
시나리오 4가 진행된다면
2023 중반기부터 서서히 경제회복


9. 돌아온 인플레이션, 어떻게 투자해야 할까

Q. 무조건 실물투자?
A. X


실물자산도 특성이 다 다름
ex) 물가상승률 10%
예금금리 10% 이상
> 굳이 사재기 필요 X
단순히 돈 가치가 떨어진다고 실물자산 살 필요 X

인플레이션 & 주가


1970년대를 참고하면
물가가 오르면 기업가치도 올라야 하는데
걸핏하면 물가 잡겠다고 연준이 금리를 올림
10년 동안 주가가 인플레이션을 따라잡지 못하는 현상

기준금리를 파격적으로 인상한 이후
인플레이션이 끝났다는 신호가 나오자,
주가가 이 갭을 메우며 폭등하기 시작

다만 폴 볼커가 금리 인상을 멈춘 뒤
인플레이션이 끝났다는 것을 확인하고
다시 증시 랠리가 시작될 때까지
무려 1년이나 걸렸다는 점에 주의

인플레이션 & 부동산


금리인상 후 차례 조정
극심한 변동 끝에 하락
S&P 500 지수에 비해는 작았음
1950-70년대 미국 경제 유례없는 호황
부동산 가격은 매우 안정
2000년대 이후 경제 낮은 성장률
집값만 폭등
주식보다 나은 선택지라고 속단하긴 어려움

인플레이션 & 미국 국채


금리 인상기엔 주식 못지않은 위험한 자산
안정되지 않으면 금리 인상과 인하 되풀이
국채 가격 급변, 특히 조심

인플레이션 & 원자재


1970년대 오일쇼크
당시 원유 가격 상승은
인플레 결과라기보단 원인
신재생에너지 보편화 전까진
원유나 천연가스 가격 변동에 휘둘릴 가능성 높음

인플레이션 & 금


대표적인 인플레이션 헤지 투자자산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 연준이 금리를 올리기 시작하면
금값에 불리한 요소로 작용
금 투자는 인플레이션과 금리 상승 사이에서 널뛰기
금은 시세 차익을 노린 투자보다
혹시 모를 위험에 대비한 최후의 보루로 보유








요즘 시기에 필요한 내용이었다 생각합니다.
모두 참고하셔서
성공적으로 자산을 지키고
적절한 시기에 투자하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